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

중간고사 하루 전, 대학생의 밤

728x90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대학교 첫 시험

 

망각의 동물

사람들은 시험이 끝나면 항상 다짐한다.

"다음 시험은 벼락치기 안 하고, 미리 공부해야지..."

 

하지만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다. 항상 그때의 후회와 다짐을 잊고 다음 시험을 맞이한다.

이번 중간고사도 벼락치기 중인 나처럼 말이다.

 


시험공부가 처음?

시험 볼 때마다 벼락치기한 것처럼 말했지만, 사실 벼락치기조차 제대로 해본 적이 없다.

 

보통 시험 하루 전쯤 되면

심각성을 느끼고 밤새워 공부하는 게 정상 아닌가?

근데 나는, 너무 거대한 벽이 느껴지면 좌절하고 손을 놓아버렸다.

(회피형 인간 + 게으름 만렙 )

 

조금 하다가 포기하고, 잠이나 잔다.

그래서 부끄럽지만, 나는 한 번도 시험공부를 제대로 해본 적이 없다.

하지만 그 비싼 등록금 내고, 남들 졸업할 늦은 나이에 대학까지 왔는데

똑같이 한심하게 살면 그게 인간이냐;;

 

이번에는 벼락치기라도 하자는 마음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모든 것은 설계에서 시작된다.

그래도 나의 장점 하나를 꼽자면, 그나마 자기 객관화는 된다는 것이다.

나이를 먹으면서 스스로를 더 잘 알게 된 걸까.

나는 집에 있으면 공부할 인간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었다.

 

다행히도 첫 시험이 목요일이라, 하루 전인 수요일은 공강이었고

낮부터 공부할 수 있었다.

오후 1시, 나는 스터디카페로 향했다.

 

첫날 시험 과목은 '프랑스 문화의 이해'와 '선형대수'였다.

수학은 벼락치기가 안 되는 과목이니까, 선형대수만큼은 미리미리 공부를 해뒀다.

(아무리 한심해도... 저도 사람입니다.)

 

교양 한 과목만 올인해서 공부하면 되는 상황.

그런데 정리도 안 된 과목을 들여다보니,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렸다.

 

그동안의 경험을 생각하면,

아무 계획 없이 공부를 시작했다간 또 좌절하는 내 모습이 눈에 선했다.

그래서 최대한 시간을 활용하고, 느긋하게 공부하는 걸 막기 위해 짧은 단위로 시간표를 짜기 시작했다.

 

강의평을 보니, 교수님 수업자료만 달달 외워도 점수는 잘 나온다고 했지만—

하루 전이라도 교과서 3회독은 해야 그다음 암기할 것도 머리에 들어올 것 같았다.

그래서 3회독 계획을 세웠다.

 


나의 집중력 비결은 타들어가는 발등

말은 안 했지만, 1시에 스터디카페에 도착해서 선형대수 공부랑

금요일에 보는 '독일 문화의 이해'도 살짝 해둔 상태였다.

 

그러고 나니 시계는 저녁 7시를 가리키고 있었고,

나의 프문이 공부는 7시에 시작해서 새벽 5시까지 공부하는 것이 목표였다.

 

사실 프문이는 강의를 들을 때마다 진짜 재미없다고 느꼈던 과목이다.

애초에 프랑스에 큰 관심도 없었고,

듣고 싶은 교양도 마땅치 않아서 그나마 덜 지루해 보이는 문화 관련 과목을 고른 것뿐이었다.

 

그런데 교수님의 강의가 생각보다 더 힘들었다.

전달력도 부족하고, 집중이 어려워서

수업 내내 지루함과 싸워야 했다.

 

그래서 이 과목은 그냥 버릴까도 고민했지만

이 와중에 학점 내기가 몇 개 걸려있었다. ^^

 

그래서 울며 겨자 먹기로, 열심히 교과서와 강의자료를 읽었다.

그냥 읽고, 밑줄 치면서 읽고, 형관펜으로 칠하며 읽고...

계획대로 총 3회독을 하며 개념을 정리했다.

 

다행히 수업시간이 지루하긴 해도 귀를 완전히 닫진 않는 편이라,

그때 하나도 안 들어온 줄 알았던 내용들이 조금이나마 머릿속에 남아 있어서 꽤 도움이 됐다.

 

무엇보다 놀라웠던 건

평소에는 집중력이 20분을 못 가는데

이날은 무려 7~8시간을 내리 집중했다는 거다.

 

원래도 새벽에 집중을 더 잘하는 타입이긴 한데,

게으름뱅이 + ISTP인 나는

발등에 불이 떨어지고, 타들어가기 시작해야 겨우 능력을 발휘하는 인간인 것 같다.

 

크게 시간 안 밀리고 시간표대로 공부하긴 했지만,

막바지엔 정신력이 바닥나서 그냥 5, 6, 7단원은 1회독만 하고 남은 시간은 계속 암기했다.

원래 새벽 5시까지가 목표였는데, 결국 아침 6시 40분까지 붙잡고 있었다.

중간에 밥 먹은 시간도 있었지만, 대충 스터디카페에서 17시간쯤 공부한 셈이었다.

 

솔직히 이렇게 오랜 시간 공부한 것도 처음이고,

포기 안하고 밤새서 공부한 것도 처음이라 스스로 굉장히 뿌듯했다.

무엇보다 공부가 잘됐다는 확신이 들었고,

정말 하나도 기대하지 않았던 프문이 시험이 기다려지기 시작했다.

 

그래도 조금은 자야겠다 싶어서,

스터디카페에 나오자마자 바로 집으로 가

두 시간쯤 눈을 붙이고 학교로 향했다.

 


이게 나의 최선

원래 나는 잠을 최소 8시간, 많이 자면 평일 10시간

주말이면 12시간 이상도 거뜬히 잔다.

근데 두 시간 자고 일어나니, 뇌가 버퍼링 걸린 것처럼 멍~한 상태였다.

 

프문이 시험이 시작되고,

딱 두 문제 빼고는 막힘없이 풀었다.

 

한 문제는 틀린 부분을 찾는 문제였는데,

공부하면서 여러 번 본 내용이라 절대 모를 리가 없는데

아무리 봐도 다 맞는 것 같았다.

 

다른 하나는, 공부할 때 '이건 안 나오겠지'하고 정리에서 뺐던 부분이라

그건 그냥 깔끔하게 포기했다. ㅎ

 

시간도 거의 끝났고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어서

그냥 시험지를 제출하고 나왔는데,

마침 같이 팀플 했던 팀원도 시험을 마치고 나왔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그 문제 답을 물어봤는데

충격.

그 문제의 정답은 십자군 전쟁이었다.

 

백년전쟁이라고 적힌 부분을 십자군 전쟁으로 고치는 거였는데,

듣자마자 내가 이걸 왜 몰랐지? 싶어서 웃음이 났다.

시험 볼 땐 너무 자연스럽게 보여서 인지도 못했다.

아무래도 뇌가 멍한 상태가 맞는 것 같다.

 

그래도 푹 자고 시험지에 '교수님 죄송합니다'만 열심히 적고 나오는 것보단,

실수가 낫다고 생각했다.

아쉽긴 했지만, 후련함이 더 컸다.

 


사실 아직 안 끝났어.. ㅎ

금요일 시험까지 치르고,

지금 토요일 새벽에 블로그를 쓰고 있다.

 

하지만 아직 월요일 시험도 남았고,

일요일까지 제출해야 할 중간고사 대체 과제도 있다.

 

솔직히 지금 블로그 쓰고 있을 시간이 없는데...

이틀 밤을 꼬박 새우고 나니, 잠깐 쉬고 싶어서

그냥 내 얘기를 정리해 본다.

 

다들 대학 가면 1학년 땐 놀아야 한다고 말하는데,

언제 놀라는 건지? 놀 시간이 없구먼...

 

그래도 오랜만에 무언가 열정적으로 몰입하는 거 같아서

'대학 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 다닐 때 이런 감정이 있었던가... 싶기도 하고.

 

아무튼 빨리 코딩 과제도 해야 하고, 오늘 오전에 알바도 있어서

이만, 블로그 마무리해야겠다.

 

기회 되면 나머지 시험 후기도 꼭 써보는 걸로.

그럼 이만~

 


728x90